[기술교류] 최신 글로벌 하이테크 섬유기술 동향 세미나
본문
ㅇ 일시/장소 : ‘24.8.22(목), 코엑스 컨퍼런스룸 307호
ㅇ 참석자 : 과제 수행기관 및 수요기업, 연구소, 협회 등 144명
ㅇ 프로그램
시간 | 발 표 명 | 강연자 (소속) |
14:00~14:05 | 개회 | 섬산련 |
JEC World 2024 – 첨단복합소재 기술 동향 | ||
14:05~14:40 | 최신 Mobility 소재 동향 | 이현욱 책임 (한국자동차연구원) |
Techtextil 2024 – 첨단 산업용섬유의 지속가능한 성장 | ||
14:40~15:15 | 지속가능 소재와 응용제품 | 김승현 교수 (인하대학교) |
15:15~15:50 | 청정 생산 공정 기술 현황 및 사례 | 전한용 대표 (GSI코리아) |
15:50~16:25 | 제품-서비스 및 제조-서비스 융합 사례 | 임대영 수석 (한국생산기술연구원) |
16:25~16:30 | 폐회 및 정리 | 섬산련 |
ㅇ 주요내용
- 최신 Mobility 소재 동향 (한국자동차연구원 이현욱 책임)
· 자동차에 적용되는 소재 중 금속 소재는 차체 섀시 부품의 약 67%를 차지하고, 화학 소재는 내·외장 부품에 약 12% 사용되며
소재 선택시 가격 경쟁력, 경량화, 성형성이 주요 고려 사항으로, 신소재의 경우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어야 함
· 최근 자동차 산업은 친환경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 및 재활용 소재의 개발을 확대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
PP Alloy의 개발과 고성능 바이오 복합재 개발 진행 중
· 현대자동차는 레이스카에서 사용하는 CFRP를 양산차에 적용 확대하고 있으며, 내장 부품과 트럭 화물칸 패널에 사이드 미러 커버 등
다양한 부품에 GFRP와 아라미드 사용
· 현대자동차, Porsche 등 국내외 제조업체들이 친환경 소재를 적용한 차세대 모델을 출시하며,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노력에 박차를
가하고 있고, 자동차 산업의 변화는 더욱 다양해지고 있으며, 관련 기술 개발과 시장 대응 전략이 중요
- 지속가능 소재와 응용제품 (인하대 김승현 교수)
· 이번 Techtextil은 첨단 산업용 섬유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관련된 다양한 경향과 기술들이 소개되었으며, 특히 지속 가능성과
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됨
· Econogy란 경제성(Economy)과 생태성(Ecology)의 결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섬유 산업 미래를 도모하며, 모든 기업가적 사고의 필수 요소로
자리잡고 있음
· 주요 친환경(리사이클, 생분해, 비건가죽 등) 제품/공정을 연구하는 기업들(Recyc’clit, Beti, Barnet, Procotex, Shieldex 등)
관련 발표 진행
- 청정 생산 공정 기술 현황 및 사례 (GSI코리아 전한용 대표)
· ITMA 2023은 디지털 기술을 통한 지속 가능성 증대 및 재활용 기술의 발전을 강조하며, Techtextil 2024에서는 생분해성 및 재활용 가능한
소재와 혁신적인 생산 공정의 중요성을 논의
· 스웨덴의 Ipco AB는 스틸벨트 및 테플론벨트 기반의 모듈형 프레스 시스템을 통해 지속 가능한 생산 공정을 통합하는 기술을 제공하며 스위스
Oerlikon은 고품질 폴리머 생산을 위한 재활용 기술 솔루션을 제안하며, 연간 100만 톤의 CO2 절감을 목표
· 독일의 Erhardt + Leimer는 AI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오염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제거하며, Gneuss의 Omni 재활용 시스템은 폴리머
재활용을 위해 설계된 여러 장비를 통합하여 효율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
· 생산 공정에 AI와 자동화를 통합하여 효율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경향이 확산되고 있으며, 새로운 재활용 기술 개발 및 지속 가능한 자원
사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
- 제품-서비스 및 제조-서비스 융합 사례 (생기원 임대영 수석)
· 서비스화(Servitization)란 제품 판매에서 서비스를 결합하여 고객의 요구를 더 잘 충족시키는 모델로 디지털 헬스케어와 안전
및 보호 분야에서 두드러지는 성장을 보임
· 제조업의 서비스화는 ‘Servicification’으로도 불리며, 다양한 서비스가 제품 생산 과정에 통합되고 서비스가 중간재로 투입되어
생산 효율 증대 및 작업자의 의견이 고려되는 경향이 나타남
· 구독 경제모델이란 소비자와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, 패션 산업에서도 채택되고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