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기술교류] 섬유협력과제 총괄 교류회
본문
ㅇ 일시/장소 : ‘24.5.6(목)~7(금), 대전 라마다 호텔 에메랄드 홀
ㅇ 참석자 : KEIT, 소부장 협력단, 과제수행기관 및 수요기업 등 25명
ㅇ 프로그램
날짜 | 시 간 | 주요 내용 | 비 고 |
‘24.5.9(목) 1일차 | 13:30~14:00 | 집합 및 참석자 확인 |
|
14:00~14:10 | 인사말 및 참석자 소개 |
| |
14:10~14:30 | 소부장 협력단 성과 및 계획 | 섬유협력단 | |
14:30~15:10 | 글로벌 산업용 섬유 동향(Techtextil 2024) | 섬유개발연구원 전길우 책임 | |
15:10~15:50 | 소부장 주요 과제 소개 및 성과 | 과제별 대표자 | |
15:50~16:00 | Break Time |
| |
16:00~17:00 | 소부장 주요 과제 소개 및 성과 | 과제별 대표자 | |
17:00~17:30 | 소부장 R&D 수행 시 유의사항 안내 | KEIT 김태헌 수석 | |
17:30~18:00 | 개별 체크인 | 참석자 | |
18:00~20:00 | 석식 | 참석자 | |
‘24.5.10(금) 2일차 | 07:30~9:30 | 조식 | 참석자 |
9:30~11:30 | 소부장 과제 사업화 촉진방안 및 건의사항 논의 | 섬유협력단 | |
11:30~11:40 | 기념 사진촬영 | 참석자 | |
11:40~이후 | 정리 및 폐회 | 섬유협력단 |
ㅇ 주요내용
- 소부장 협력단 성과 및 계획 (섬산련 이민현 실장)
· 협력단 사업 도입취지 및 목적, 협력단 비전, 목표 등에 대한 소개
· 수요기업 협의체 운영, 수요처 대상 홍보, 기술교류회 개최 등 협력단 사업의 주요 추진내용 소개와 정량적 추진목표 설명
· 사업화 추진 방안, 협력단 운영관련 건의·요청사항 접수
- 글로벌 산업용 섬유 동향 (한국섬유개발연구원 전길우 책임)
· 유럽 섬유산업의 구조가 우리와 유사하나 R&D 협력 및 응용기술분야가 진보
· EU섬유기업 99.7%는 10인 미만기업이며 250인이상 중견기업은 약 0.3%로 소수를 차지
· 기술 및 공정의 디지털화가 높은 수준으로 진행되었으며, 다양한 프로젝트 및 산/연 협력을 통한 기술력 제고 활발
· 개발기술 및 제품의 적극적인 프로모션이 이루어지고 있으며, 수요산업과의 높은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정부 지원이 대두
· Techtextil/Texprocess 2024 전시회 개요
· 전시회의 주요 키워드는 지속가능성, 추적성, 그린워싱, 미래, AI, 디지털 등
· 주요 트렌드로는 리사이클/지속가능/기능성/첨단산업 및 유럽 섬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강력한 환경규제 및 정책개발 주력
· 그린워싱 방지를 위한 공정의 투명성 확보 및 규제강화 대응 주력
· 고성능 유기섬유/산업용 섬유 분야 리사이클 소재 및 제품화 추세 강화
· 유럽의 친환경 정책과 연계가 가능한 국내 인증시스템 확보와 고기능성/고성능/고품질 제품의 연구개발이 관건
- 소부장 수행기관별 과제 및 성과 공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