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수요-공급기업 협력모델 발굴] 자동차 내장재 수요기업 협의체
본문
ㅇ 일시/장소 :‘24.6.13(목), 해운대 신라스테이
ㅇ 참석자 : 26명
- (관리기관) KEIT, 소부장 협력단 등
- (과제기관) 자동차 내장재 과제 총괄 책임자 또는 세부책임자 등
- (기업/연구소) 자동차 완성차, 부품 기업 및 관련 연구소 등
ㅇ 프로그램
시 간 | 주요 내용 | 비 고 |
13:00~13:30 | 개회사 및 참석자 확인 |
|
13:30~14:30 | 자동차 내장재 세부 기술개발 현황 소개 | 과제기관 |
14:30~15:30 | 과제 개발계획 및 질의응답 | 섬유 협력단 |
15:30~15:40 | 중간 휴식 | - |
15:40~16:30 | 초청 강연 (전기차 내장재 흡차음재 동향) | NVH테크 정충길 대표 |
16:30~17:20 | 초청 강연 (자동차용 폼 소재 세미나) | KATRI 시험연구원 박석태 책임 |
17:20~17:40 | 소부장 섬유협력단 소개 | 섬유 협력단 김영무 부장 |
17:40~18:00 | 폐회 및 사진촬영 | 과제기관, 참석자 |
18:00~20:00 | 석식 | 참석자 |
ㅇ 주요내용
- 과제 발표
· 강화 PP복합재 및 PET 팽창보드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초경량 자동차 내장재 개발 목표
· 서연이화, SL 등 국내 자동차 부품사와의 미팅 및 개발 소재의 타 자동차 부품에 적용을 통한 매출 증대 목표
- 전기차 내장재 흡차음재 동향 (NVH테크)
· 전기자동차의 보급 전환점이 2025년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예상보다 빠르게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음
· 각 국의 내연기관 자동차의 규제 현황은 노르웨이와 네덜란드는 2025년부터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를 금지하고
영국, 프랑스, 독일은 2040년부터 인도의 경우는 2030년부터 전기자동차만 판매하도록 법제화 했음
- 자동차용 폼 소재 (KATRI 시험연구원)
· 미래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천연섬유(Kapok등) 또는 재활용이 가능한 PET 단일소재로 구성되어
환경규제 대응, 에너지 효율 개선, 안전성 강화, 경량화, 제진, 흡차음 요구를 충족하는 부품 소재 개발 필요
· 친환경 경량 자동차 내장재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기존 수입소재 대체가 가능하며, 미래 자동차용 글로벌 친환경
및 경량 부품소재 시장 진입 가능
- 소부장 섬유 협력단 소개 (KOFOTI)
· 글로벌 전시회 참가를 통한 수요처 발굴 및 비즈니스 미팅(40건) 주선을 통해 지원과제 사업화와 매출 창출에 기여
·전자, 자동차 등 이종 산업간 수요기업 협의체 운영, 국내외 소부장 과제 성과 홍보 확대 등 지원과제의 사업화를 적극적으로 지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