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수요-공급기업 협력모델 발굴] 전자기기 분야 수요기업 협의체
본문
ㅇ 일시/장소 :‘24.10.21(월), 섬유센터 2층 A1룸
ㅇ 참석자 : 25명
- (관리기관) 소부장 협력단(섬유, 전자기기, 자동차)
- (과제기관) 고성능 섬유, 전자기기 과제 총괄책임자 또는 세부책임자 등
- (기업/연구소) 전자기기, 배터리 부품 기업 및 연구원 등
ㅇ 프로그램
시 간 | 주요 내용 | 비 고 |
13:30~14:00 | 집합 및 참석자 확인 |
|
14:00~14:10 | 관리기관 인사말씀 | KEIT, 협력단 |
14:10~14:20 | 수요기업 협의체 안내 | 협력단 |
14:20~15:00 | 초청 강연 (국내 첨단산업 ESG 대응 및 추진전략) | 한국표준협회 이기환 위원 |
15:00~15:50 | 소부장 섬유 과제 발표 및 질의응답 | 섬유협력단 |
15:50~16:00 | Break Time | - |
16:00~16:40 | 소부장 전자기기 과제 발표 및 질의응답 | 전자기기협력단 |
16:40~16:55 | 수요-공급 네트워킹 행사 안내 | 자동차협력단 |
16:55~ | 정리 및 폐회 | 참석자 |
ㅇ 주요내용
- 국내 첨단산업 ESG 대응 및 추진전략 (표준협회 이기환 위원)
· ESG경영에 대한 회사 차원 또는 최고경영진의 의지 표명은 ESG 경영 실천에 대한 빠른 정착과 실행력 향상에 필수
· ESG경영 활동에 따른 성과를 지표화 하여 관리해야 하며, 특히 CEO 및 전사 차원의 목표수입, 달성현황 확인 등
트랙킹 체계가 운영되어야 함
- 고내구성 스마트웨어 개발 (보광아이엔티)
· 사용자의 운동효과 증진 서비스가 가능한 의류와 앱개발을 위한 제조 생태
· 스마트의류 모듈화를 통해 국제표준 선점 및 글로벌화 기반마련을 통한 고부가 상품개발 유도 및 관련시장 확대
- 폐섬유 물리적 재섬유화 및 재품개발 (신한방직)
· 버려지는 폐섬유를 대상으로 순수 국내기술을 통해 물리적/화학적 재섬유화기술을 개발하고 관련 원천기술 확보
및 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패션의류 및 산업용 제품개발
· 특정기업의 단독 시스템구축이 어려워 정부, 지자체, 연합단체가 연계된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 필요
- 고성능 유기섬유 강화소재 개발 (한국섬유개발연구원)
· 내흡습성과 모듈러스가 뛰어난 고탄성률 섬유 LCP 개발
· 절연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섬유소재인 PPS 개발
· 내후성, 내약품성 및 굴곡피로가 뛰어난 UHMWPE 개발
- 고내열·내화학성 PPS 장섬유 개발 (지테크)
· 용융방사할 수 있는 섬유고분자 중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여 배터리 분리막, 차량용 내화학성 소재
및 Paper 소재 등으로 용도 확장성이 우수한 PPS 소재 개발
· 국내에 전무한 PPS 장섬유의 국산화와 스크림 직물 보강의 복합 부직포를 이용한 고내열·내화학성 필터백 제품화를 목표
- LCP 소재 개발 및 폐섬유 화학적 리사이클 (삼환티에프)
· 280℃이상의 고온의 용융상태에서 결정성을 가지는 전방향족 폴리에스터 섬유 개발을 통한 해양로프, 전력케이블
및 6G 고속 통신부품 적용
· 폐섬유의 화학적 리사이클을 통한 완전한 순환경제체제 구축
- 기업 및 제품 소개 (EV첨단소재)
· 유리창에 부착된 투명 LED 필름을 통하여 외부로는 디지털 사이니지 기능으로 콘텐츠를 표현하고 내부에는 유리창 기능을 유지하여
시야각이 확보디는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
· 자기센서는 다양한 사업에서 위치, 속도, 방향, 전류를 감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, 주로 스마트폰, 자동차, 드론 등에서
지구 방위각, 방향, 모션, 위치 감지등의 기능구현에 적용됨
- 6G 테라헤르츠 통신용 안테나 및 필터개발 (센서뷰)
· 6G 이동통신은 국가경쟁력의 핵심기술로 인공지능, 자율주행차량, 산업디지털전환의 필수기술로 2030년 경 상용화 전망
· 6G 이동통신 개발을 통한 Sub-THz 이동통신, 위성/차량 통신, 레이더 시스템 등 수평 전개를 통한 기술적 우위 선점 가능
- 초고속 통신용 공중합 열방성 LCP 소재 개발 (세양폴리머)
· 초고속 통신기술 확보 경쟁 속, 고신뢰성 co-TLCP 소재 적용이 일본기업들 중심으로 가치사슬 형성중
· co-TLCP 소재 개발을 통해 국가 무역전쟁으로 촉발된 주요 산업분야의 기초소재 대응 가능
- 고내열성 섬유기반 3차원 다공구조 난연 분리막 개발 (뉴처)
· 전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, 고내열성 및 난연기능성이 포함된 신개념 분리막 개발 필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