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수요-공급기업 협력모델 발굴] 자동차 분야 수요기업 협의체
본문
ㅇ 일시/장소 :‘24.10.17(목), 부산 해운대 코오롱 씨클라우드 호텔
ㅇ 참석자 : KEIT, 소부장 자동차 과제 참여기관, 자동차 수요기업 등 23명
ㅇ 프로그램
시 간 | 주요 내용 | 비 고 |
13:00~13:30 | 개회사 및 참석자 확인 | 섬유 협력단 |
13:30~14:30 | 자동차 내장재 세부 기술개발 현황 소개 | 과제기관 |
14:30~15:30 | 과제 개발계획 및 질의응답 | 과제기관 |
15:30~15:40 | 중간 휴식 | - |
15:40~16:20 | 초청 강연 (글로벌 이슈 및 대응을 위한 PET 수송용기 적용 가능성 소재) | 한국파렛트풀 박상훈 팀장 |
16:20~17:00 | 초청 강연 (자동차용 복합소재 탄소 중립 관련 글로벌 규제) | 윤도 박정우 대표 |
17:00~17:40 | 초청 강연 (기술 및 특허동향) | 특허법인 스마트 심재만 변리사 |
17:40~18:00 | 섬유산업 지원기관 소개 | 섬유 협력단 김영무 부장 |
18:00~20:00 | 폐회 및 사진촬영 | 과제기관, 참석자 |
ㅇ 주요내용
- 과제 발표
· 강화 PP복합재 및 PET 팽창보드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초경량 자동차 내장재 개발 목표
· 서연이화, SL 등 국내 자동차 부품사와의 미팅 및 개발 소재의 타 자동차 부품에 적용을 통한 매출 증대 목표
- 글로벌 이슈 및 대응을 위한 PET 수송용기 적용 가능성 소재 (한국파렛트풀)
· 수송용 섬유소재의 표준화는 완성차 업체가 주도 중이며, 국내의 경우 해외 완성차 표준을 참고하여
자체 제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나, 점차 자체적인 표준 마련하고 있는 중임
· 수송용 섬유소재 관련 표준은 각 기업의 기술에 기반하여 마련되므로 국제적인 표준화는 실제적으로 어려워
기업과의협업에 의한 표준화 추진이 바람직함
- 자동차용 복합소재 탄소 중립 관련 글로벌 규제 (윤도)
· 자동차 내장분야에 친환경 소재 적용과 고객만족을 위한 품질향상(냄새, 감성품질 등) 등 해외자동차와의 경쟁에서
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또한 지속적인 가격절감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
·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, 최근 자동차 회사들은 최소한의 개발기간과 개발비용으로 연비향상과 배기가스 규제에
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량 경량화에 관심이 집중되어 이를 적극적으로 연구, 개발
- 소부장 섬유 협력단 소개 (KOFOTI)
· 글로벌 전시회 참가를 통한 수요처 발굴 및 비즈니스 미팅(40건) 주선을 통해 지원과제 사업화와 매출 창출에 기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