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기술교류] 자동차 부품용 섬유소재 기술교류회
본문
ㅇ 일시/장소 : ‘22.9.5(월) 14:00~16:30, 현대자동차 의왕연구소 회의실
ㅇ 참석자 : 과제수행기관 및 자동차소재 기업/기관 등 20명
ㅇ 프로그램
시 간 | 주요 내용 | 비 고 |
14:00~14:10(’10) | 「소부장 섬유산업 협력단」 소개 | 섬산련 |
14:10~14:40(’30) | 그린카용 100% 자원순환 리싸이클 PET 자동차부품 개발 | 휴비스 |
14:40~15:10(’30) | 폐섬유 물리 화학적 재섬유화 기술 및 이를 활용한 순환형 응용제품 개발 | 신한방직 |
15:10~15:30(‘20) | Break Time |
|
15:30~15:45(‘15) | 생분해성 PET/PP계 섬유소재 및 응용제품 개발 | 한국생산기술연구원 |
15:45~16:00(‘15) | ESG 경영과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| R&F 케미칼 |
16:00~16:30(‘30) | 종합 Q&A |
|
ㅇ 주요내용
- 그린카용 리사이클 PET 자동차 부품 개발(휴비스 강기혁 부장)
·100% 리사이클 PET의 순도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진행
·고순도의 리사이클 PET를 자동차 언더커버, 휠 가드, 흡음재, 시트커버 및 자동차 내장재에 적용 목표
- 폐섬유 물리·화학적 재섬유화 및 응용 (신한방직 문형태 대표)
·현재 폐원단/폐의류에서 추출한 리카딩 섬유 15%이상 혼섬하여 방적사 제작
·최종적으로 폐섬유의 재사용 및 선순환 제체를 구축하여 완전한 리사이클 생태계 구축 목표
- 생분해성 PET/PP계 섬유소재 개발 및 응용 (생기원 함완규 박사)
·현재 Biopolymer의 함량을 최적화한 생분해도 60%이상(180일)의 생분해성 섬유 개발 완료
·물성이 우수한 생분해성 PET/PP소재를 개발하여 최종적으로 의류, 보호복, 공기청정용 필터, 자동차용 필터에 적용 목표
- ESG경영과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(R&F케미칼 박동일 대표)
·바이오플라스틱은 미생물에 의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리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식물에서 추출한 식물베이스 원료로 생산한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이 있음
·PEPSI, NESTLE, MARS 등 해외 유명 식품 기업들은 25년까지 최대 30%이상의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을 선언